꿀팁

카카오페이 인증과 공동인증서 차이|언제 뭘 써야 할까?

Wealti 2025. 4. 18. 21:41

 

카카오페이 인증과 공동인증서 차이|언제 뭘 써야 할까?

요즘은 인터넷 뱅킹이나 정부 민원 서비스 이용할 때 “카카오페이 인증으로 간편하게 하시겠어요?”라는 문구, 자주 보셨죠?

예전에는 **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**가 필수였지만, 지금은 **카카오페이 인증, PASS, 네이버 인증서** 등 다양한 인증 수단이 생겨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.

하지만 어디서 뭘 써야 할지 헷갈린다면? 카카오페이 인증과 공동인증서의 차이점, 사용 가능한 곳, 장단점을 총정리해서 정리해드립니다!

---

1. 공동인증서란?

  • 기존 ‘공인인증서’에서 명칭이 변경됨 (2020년 이후)
  • 금융결제원, 한국정보인증 등에서 발급
  • USB나 PC 보관 필요 없이 클라우드 보관 가능
  • 은행, 카드사, 보험사, 공공기관 대부분 사용 가능

✅ 보안성이 높지만
❗ 사용하려면 비밀번호 입력, PC 환경설치 등 번거로운 점이 있음

---

2. 카카오페이 인증이란?

  •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사설 인증 서비스
  • PIN / 지문 / 얼굴 인식으로 간편하게 본인 인증 가능
  • 앱 설치와 카카오페이 가입만으로 바로 사용 가능
  • 정부24, 홈택스, 국민연금, 고용노동부 등 다양한 공공기관에서 사용 가능

✅ 빠르고 간편함
❗ 일부 은행 등에서는 사용 제한이 있거나 2차 인증으로만 가능

---

3. 비교 요약표

구분 공동인증서 카카오페이 인증
발급기관 금융결제원 등 공공기관 카카오페이(사설)
인증 방식 비밀번호 + PC 설치 지문 or 얼굴 + 카카오톡
사용처 전 금융권 + 모든 정부 사이트 정부24, 홈택스 등 일부 기관
유효기간 1년 (갱신 필요) 2년 (갱신 알림 제공)
장점 신뢰도 & 범용성 간편함 & 접근성

---

4. 언제 뭘 써야 할까? 상황별 추천

  • 관공서 민원 (정부24, 홈택스) → 카카오페이 인증 OK
  • 은행 이체/계좌 개설 → 공동인증서 or OTP 필요
  • 보험 청구 → 카카오페이 인증 사용 가능(회사별 상이)
  • 비대면 계약서 서명 → 카카오페이 인증이 간편

즉, 공공기관이나 일반적인 로그인에는 카카오페이 인증이 빠르고 편하지만, 금융 서비스에서는 여전히 공동인증서가 더 강력한 범용 수단으로 쓰입니다.

---

5. 카카오페이 인증 등록 방법

  1. 카카오톡 > 더보기(≡) > 카카오페이 선택
  2. 우측 상단 톱니바퀴 > 인증서 관리 > 인증서 발급
  3. 이름 + 생년월일 입력 → 간편인증(PIN/지문) 등록
  4. 등록 완료 후, 바로 홈택스 등에서 사용 가능

---

한 줄 요약

빠르고 편한 건 카카오페이 인증, 어디서나 쓰려면 공동인증서! 두 개 다 발급받아두면 상황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요.

--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