꿀팁

청년도약계좌 해지 후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가능할까?|조건 총정리

Wealti 2025. 5. 16. 17:30


청년도약계좌와 청년내일저축계좌, 동시에 가입 안 되는 이유

2023년부터 시행된 청년도약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는 모두 청년을 위한 자산형성 지원 제도입니다. 하지만 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계좌를 선택할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특히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했지만 불입 부담이 크거나 조건 미충족으로 중도 해지를 고민하고, 이후 청년내일저축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지 묻는 질문이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.

두 계좌의 가장 큰 차이점은 '가입 목적'과 '정부지원 구조'

두 계좌는 기본적으로 정부 지원이 들어가는 청년 자산형성 프로그램이지만, 성격이 확연히 다릅니다.

  • 청년도약계좌: 중산층 이하 청년에게 월 40~70만 원 납입 시, 정부가 최대 3.6% 금리를 지원. 만기형 자산형성 중심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: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저소득 근로청년에게 월 10만 원 납입 시 정부가 최대 30만 원 매칭. 복지성 저축 지원

즉, 지원금 구조·소득 기준·지원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병행은 정책상 금지되어 있으며, ‘갈아타기’도 조건이 매우 까다롭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 해지 후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가능한 조건

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면 청년내일저축계좌에 신규 가입 가능합니다. 단, 다음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  1. 청년도약계좌 ‘해지 처리’가 행정적으로 완료된 상태여야 함
  2. 해지일 기준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신청 접수 시점에 ‘중복가입이 아님’이 확인되어야 함
  3. 소득·가구 기준 등 청년내일저축계좌의 별도 요건 충족 필요

즉, 전환 개념이 아닌 ‘해지 후 신규신청’으로 간주되며, 중간 공백 기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중복 가입 자동 차단 시스템 주의

청년 계좌 정책은 행정정보 연계 시스템으로 가입 이력 자동 조회가 됩니다. 청년도약계좌 해지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할 경우, ‘중복가입 불가’ 사유로 탈락 처리될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반드시 해지 처리 완료일을 확인하고,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 상담 후 신청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전환할지 유지할지 판단하는 체크포인트

  • 소득이 안정적이고 불입 여력이 된다면 → 청년도약계좌 유지
  • 소득기준이 낮고 정부 매칭을 극대화하고 싶다면 → 청년내일저축계좌로 전환
  • 기초수급자·차상위계층은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유리

두 계좌는 목적이 달라 “어떤 게 더 낫다”기보단 본인의 재정 상황에 따라 선택이 필요한 제도입니다.

📌 지금 실천해볼 것 3가지

  1. 내가 현재 어떤 계좌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
  2. 해지 후 신청 가능한 신청 기간 및 요건 체크
  3.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중복 여부 문의 후 신청 진행

🔎 한 줄 요약

청년도약계좌 해지하면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가능하지만, 중복가입 방지 시스템 때문에 해지 완료 후 신중히 신청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