꿀팁

세무사 수수료 얼마가 적정?|종합소득세 신고 기준 비교 정리

Wealti 2025. 5. 13. 09:07


5월은 매년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입니다. 특히 개인사업자, 프리랜서, 부동산 임대사업자분들은 이 시기에 세무사 신고 수수료가 과도하게 청구되는 건 아닌지 고민이 많아지곤 하죠.

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적정 수수료 기준과 평균 요율, 그리고 사업자 유형·매출별 차이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
1. 종합소득세 신고, 세무사에게 맡기는 이유

홈택스로 셀프 신고도 가능하지만, 수입·비용이 복잡하거나, 복식부기 대상자/세액공제 적용 대상인 경우에는 세무 대리인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

  • 단순경비율 대상: 간편신고 가능
  • 기장 의무자: 세무대리인 통해 '신고조정계산서' 제출 필요
  • 가산세·누락 우려 있는 경우: 세무사에게 맡기는 것이 안전

2. 세무사 수수료, 적정한 기준은?

수수료는 다음 세 가지에 따라 달라집니다.

  1. 신고 유형: 단순 신고 / 신고조정 / 기장 + 신고 등
  2. 매출액: 연 5,000만 원 미만 ~ 10억 원 이상 등 구간별
  3. 사업장 수: 복수 사업장일수록 조정이 복잡해짐

국세청, 대한세무사회 등의 통계 기준에 따르면 평균 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단순 신고: 5만 ~ 15만 원
  • 신고조정 (복식부기): 50만 ~ 150만 원
  • 기장 + 종합소득세: 연간 100만 원 이상이 일반적

3. 사례 비교: 수수료가 과도한가요?

예시 상황: 매출 7.5억, 복식부기, 사업장 3개, 월 기장료 8.8만 원 지급 중

세무사로부터 종합소득세 신고조정 수수료 80만 원 요구 받음.

이 경우는 다음 조건에 해당하므로 비교적 합리적 수수료 수준으로 판단됩니다.

  • 매출액이 높은 편
  • 사업장이 3곳으로 복잡
  • 복식부기 대상 + 기장 병행

하지만, 세무사별 수수료 편차가 크기 때문에 최소 2곳 이상 비교 견적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

4. 수수료 아끼는 현실적 방법

  1. 기장대리 맡기는 세무사에 신고까지 포함 요청: 패키지 요금 협상
  2. 간편장부 대상자는 홈택스 셀프 신고 고려
  3. 소득 누락 리스크 없는 구조라면 '간이 신고' 방식도 가능
TIP: 국세청 홈택스에서 '종합소득세 신고 도움 서비스'를 제공하므로 기초정보 확인 후 세무사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
📌 지금 실천해볼 것 3가지

  • 내 매출액과 사업장 수에 따라 신고 유형 확인
  • 2~3곳 세무사에 수수료 견적 비교 요청
  • 기장 + 신고 패키지 요금 여부 사전 협의

🔎 한 줄 요약

종합소득세 신고 수수료는 매출, 사업장 수, 기장 여부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, 평균 요율을 기준으로 합리적 수수료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